한국 민중들은 보편적으로 한중 관계의 미래 발전을 낙관하고 있다

시간:1970-01-01편집:admin읽기:51

    한국 국민들은 보편적으로 한중관계의 미래 발전을 낙관했다

    [웹이미지]



    특별원고:

    제2차 한국전쟁이 발발할 경우 중국이 북한을 도울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이었다., 중국이 북한을 도울 것이라는 응답은 39.4%로 이명박 정부 때인 2012년 (75.9%)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.

    중국은 지난해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이를 공개적으로 규탄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북 제재를 적극 요청하면서 한국과 신뢰를 쌓아왔다.류젠차오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 (차관보급) 가 북한과 중국은 군사동맹이 아니라고 발언한 것도 북한에 대한 중국의 강경한 시각을 보여준다.

    경쟁관계인지 협력관계인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0.8% 가 협력관계라고 답했고 경쟁상대라는 응답은 32.7%에 그쳤다.81%의 응답자가 한국과 중국이 국가안보를 위해 협력하는 것을 지지했고, 중국이 한국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크게 줄었으며, 미국과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대중 관계 발전에 역점을 둬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.

    한국과 중국이 협력해야 할 분야로는 북핵 문제가 53.6% 가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고 답해 압도적이었다.북핵 해결을 위해 중국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34.3%로 당사자인 한국 (33.7%)은 물론 미국 (22.5%) 보다도 10% 포인트 높았다.응답자의 82.4%는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을 위해 중국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68.1%는 중국이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.

    응답자들은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지만 아직은 과도기라고 평가했다.중국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도 바뀌고 있다. 기회의 땅, 동시에 기회와 위험이 공존한다는 인식이다.

    양국 협력이 경제 · 투자 분야에 치중되면서 정치 분야의 협력이 다소 뒤처진 것이 이런 생각을 낳았다는 분석이다.

    또 뿌리 깊은 대국 의식과 과거 중국의 속국이었던 경험 때문에 소국이라는 경시 의식이 여전하며, 중국산 상품과 식품에 대한 불신감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.61.5%의 응답자는 구매하려는 상품이 중국산이라면 구매 의사가 없다고 답했고, 80.6%는 중국 수입 식품류 구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.전문가들은 한 · 중 양국 국민이 서로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한다.

    양국의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, 62%의 응답자가 박 전 대표 집권 이후 한 · 중 양국 관계가 호전됐다고 답했고, 70.8%의 응답자가 향후 양국 관계가 더욱 긴밀해질 것이라고 답했다.

    아산정책연구원 김지윤 연구원은"중국과의 문화 · 인적 교류를 중시하는 박 전 대표가 집권 이후 양국 간 신뢰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"이라고 말했다.

    아시아경제 판권소유